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머니포캣이라고 합니다!

오늘은 레버리지 효과(Leverage Effect)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 레버리지 효과
- 레버리지 효과 정의
- 레버리지 예시
▶ 레버리지 효과(Leverage Effect)
- 레버리지 효과 정의
네이버 어학사전에 따르면, 자산투자로부터의 수익 증대를 위해 차입자본(부채)을 끌어다가 자산증식에 나서는 투자전략을 총칭하는 말 이라고 합니다.
쉽게 말해 자신의 자본을 활용한 것이 아닌 다른 사람의 자본, 대출 등을 이용하여 자신의 투자 수익을 극대화하는 것입니다.
레버리지(Leverage)라는 뜻은 원래 지렛대라는 뜻을 가졌는데 경제적인 측면에서 많이 쓰이는 용어입니다.
이유는 우리 삶에 밀접하게 연관되있기 때문인데 어떤 곳에 이 레버리지(Leverage)가 쓰이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레버리지 예시
일상에서 쓰이는 레버리지의 예시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집을 살 때(LTV의 도움을 받고 주택을 매수했을 때를 가정)
예를 들면 10억 짜리 아파트가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LTV(주택담보대출)이 80%라고 치면 자기 자본은 2억이 들어갑니다.
이때 투자 레버리지(=총투자액/자기 자본)는 5배입니다.
이후에 집 값이 10% 상승하여 집 값이 11억이 되었다고 생각해 봅시다.
그럼 수익변동률인 1억(10%)이 올랐기 때문에 투자 자기 자본 2억의 50%가 오른 셈이 되는 것이죠.
만약 집 값이 20% 하락하여 집 값이 8억이 되었다고 생각해 봅시다.
그럼 수익변동률인 2억(20%)이 내려갔기 때문에 투자 자기 자본 2억의 100%가 내려간 셈이 되는 것이죠.
이와 같이 레버리지를 활용하면
손익이 확대되는 효과가 발생하므로 '양날의 검'에 비유되기도 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DTI, DSR 뿐만 아니라 다른 내용은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 참고 바랍니다.
주식 매매할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큰돈 벌어보겠다고 대출까지 받아가면서 투자하는 투자자들이 많습니다.
물론 이 분들을 비하하는 것은 아니지만 주식은 하이리스크(High Risk)-하이리턴(High Return)인데
대출받아서 투자하는 거는 저 개인적으로 너무 리스키 한 투자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대출금을 이용해서 레버리지 효과를 극대화시켜 수익을 보다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손실도 크게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꼭 기억하셔야 합니다.
그래서 이런 레버리지를 사용할 때는 철저하게 계산해야하며 자신만의 기준을 확실하게 잡고 가야 합니다.
실제로 우리나라가 외환위기에 닥쳤을 때 많은 사업자와 기업이 파산하게 된 이유 중 하나가 레버리지를 끌어당긴 것이었습니다.
오늘은 레버리지 효과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레버리지를 잘만 활용한다면 자산 증식에 많은 도움이 되는 건 사실이지만 그만큼 리스크를 포함하기 때문에 레버리지를 활용하려면 신중하게 행동해야합니다.
오늘도 경제적 자유에 한 발짝 가까워지신 걸 축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경제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쉽고 재밌게 배우는 경제용어 마이크로 크레디트편 (44) | 2024.02.06 |
---|---|
쉽고 재밌게 배우는 경제용어 만기수익률편 (34) | 2024.02.05 |
쉽고 재밌게 배우는 경제용어 디플레이션편 (57) | 2024.01.15 |
쉽고 재밌게 배우는 경제용어 디커플링편 (39) | 2024.01.10 |
쉽고 재밌게 배우는 경제용어 더블딥편 (43) | 2024.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