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용어

쉽고 재밌게 배우는 경제용어 디플레이션편

머니포캣 2024. 1. 15. 21:30

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머니포캣이라고 합니다!

 

 

 

오늘은 디플레이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 디플레이션
  - 디플레이션 정의
  -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원인
  - 디플레이션 해결 방법

 

 


 

 

▶ 디플레이션(Deflation)

- 디플레이션 정의

네이버 어학사전에 따르면, 경제 전반적으로 상품과 서비스의 값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 이라고 합니다.

Deflation은 접두사인 De와 어근인 Flation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용어입니다.

 

이와 반대인 용어는 인플레이션(Inflation)입니다.

 

* 인플레이션(Inflation)이란?

- 상품과 서비스의 값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

 

우리는 뉴스에서 인플레이션(Inflation)이라는 용어를 많이 접합니다.

요즘 같은 상황에서 우리가 물가가 비싼게 실감나실텐데

바로 이 인플레이션(Inflation) 때문입니다.

 

그럼 디플레이션(Deflation)이면 상품 및 서비스 값이 떨어지니까 좋은거 아니야? 라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그치만 오히려 디플레이션(Deflation)이 안좋을수도 있습니다.

 

그럼 이제는 디플레이션(Deflation)이 발생하는 원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원인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원인은 크게 4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생산물의 과잉공급 : 기술의 발전으로 생산량이 수요보다 많아져 생산물의 값이 하락하는 상황입니다.

우리가 흔히 아는 공급과 수요 법칙이 적용되는것입니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2. 자산거품의 붕괴 : 자산이 과도한 상승으로 실제 가치보다 훨씬 높아졌을 때, 자산이 급락하여 거품이 꺼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어떠한 것이든 과도한 상승은 과도한 하락을 야기합니다.

출처 : 아틀라스 뉴스기사

 

 

3. 과도한 통화 긴축정책 : 중앙은행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과도하게 긴축정책을 시행하는것을 말합니다.

 

출처 : 동아일보

 

* 긴축정책이란?

경제활동을 억제하여 경기가 과열되는것을 막기위한 정책으로 금리 인상, 통화량 축소, 채권 매도 등으로 정책을 시행합니다.

 

 

4. 생산성 향상 : 기술의 발전으로 기업 or 국가가 생산 과정에서 산출물을 많이 생산하는것을 말합니다.

이는 산출물이 많아짐으로 생산된 제품의 값이 하락하게 됩니다.

 

 

대표적인 디플레이션의 예시로는 2008년 금융 위기 때 부동산 시세가 급락하면서 디플레이션이 발생했습니다.

사실 2008년 금융 위기까지 갈 필요도 없이 지금의 부동산 시장만 봐도 알 수 있습니다.

코로나 이후 폭등한 부동산 시세가 지금은 많이 침체되어 있고 불안정합니다.

 

그럼 디플레이션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 디플레이션 해결 방법

디플레이션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금리 인하 : 중앙은행이 금리 인하를 시행하여 경제 활동을 촉진해야 합니다.

이는 사람들의 소비와 투자를 증가 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2. 양적 완화 : 중앙은행이 양적 완화를 통해 시장에 통화를  공급하여 경제 활동을 촉진해야 합니다.

*양적 완화 : 중앙은행에서 통화를 풀어 경기를 부양하는 정책

 

3. 재정 정책 : 정부에서 재정을 수정 보완하여 소비와 투자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세금 인하 정책 등을 말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디플레이션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공부하기 전에는 언뜻봐서는 금리 인하되고 좋아보이였지만 

디플레이션에 대해서 알고 난 후에는

오히려 더 심각한 경기 불황을 야기할 수 있다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되었습니다.

한주가 시작되었는데 이번주도 화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