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머니포캣이라고 합니다!


오늘은 금본위제에 대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단어가 좀 낯설지만
알고 보면 별거 아니니까 걱정 마시고 따라오세요!
목차
▶ 금본위제
- 금본위제 정의
- 금본위제 특징
- 금본위제 폐지한 이유
▶ 금본위제 (Gold Standard)
- 금본위제 정의
네이버 어학사전에 따르면 화폐단위의 가치와 금의 일정량의 가치가 등가관계를 유지하는 본위제도 라고 합니다.
쉽게 말해 화폐가치에 비례해서 금으로 맞바꿔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럼 왜 금을 화폐가치에 비례해서 등가관계를 유지할까요??

일단 고대 시대부터 금을 화폐로 사용해 왔고
금의 매장량은 한정적이기 때문에 가치가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다음으로는 금본위제의 특징에 대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 금본위제 특징
금본위제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안정성 : 금은 실물 자산이기 때문에 안정적인 가치를 지닙니다.
2. 거래의 편리함 : 금은 세계적으로 통용화폐로 사용되는 자산이기 때문에 국제 거래에 있어서 편리함이 보장됩니다.
3. 채굴량의 한계: 금은 한정적이기 때문에 화폐 발행하는 데 있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현재로서는 금본위제도를 대부분 국가에서 폐지한 상태입니다.
금본위제가 폐지하게 된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금본위제 폐지한 이유
금본위제는 19세기 영국을 중심으로 발전하게 되었는데
그러다가 세계 1차 대전, 2차 대전이 발발하게 되면서
전쟁에 돈이 많이 쓰이는데 필요한 돈에 비해 금이 부족한 상태가 되었습니다.
그러면서 금과 화폐가치의 변동성(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이 심해지자
미국의 닉슨 대통령이 1971년에 금본위제를 폐지하게 됩니다.
그래서 현재는 금본위제에서 환율을 고정하지 않고 시장 경제의 추세에 따라 변동하는 제도인
'변동 환율 제도' 로 전환이 되었습니다.
현재는 뉴스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안전자산에 많은 관심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금뿐만 아니라 비트코인도 시세가 많이 올랐다고 하는데
안전자산인 금과 비트코인에도 꾸준히 관심을 갖고 투자를 한다면
분명히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겁니다.
오늘은 금본위제에 대해서 공부해 봤습니다.
저는 사실 금본위제에 대해 공부하기 전에는 금에 대한 관심이 없었는데
금본위제를 공부하면서 금에 대한 관심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독자 여러분도 단순히 '오늘 주제는 금본위제니까 금본위제 뜻만 알면 되겠지'가 아니라
금에 대한 관심을 갖고 어떤 식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야될지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날씨가 많이 춥다가 조금 풀렸는데 이럴 때일수록 감기 조심하시고
경제적 자유에 한 발짝 더 가까워지신 걸 축하드립니다.
오늘 하루도 공부하시느라 수고 많으셨습니다!!
'경제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쉽고 재밌게 배우는 경제용어 기업공개편 (30) | 2023.12.13 |
---|---|
쉽고 재밌게 배우는 경제용어 금산분리편 (53) | 2023.12.11 |
쉽고 재밌게 배우는 경제용어 국채편 (136) | 2023.12.05 |
쉽고 재밌게 배우는 경제용어 국가신용등급편 (159) | 2023.12.04 |
쉽고 재밌게 배우는 경제용어 공매도편 (224) | 2023.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