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머니포캣이라고 합니다!

오늘은 주식하시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공매도에 대해서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공매도 많이 들어보셨을거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많이 찾아보셨을거라 생각하는데
저는 이 공매도를 처음 공부할때 들어도 이해가 되지 않더라고요!
한번 이해하면 쉽지만 그 이해하는 것이 어려운 내용이므로
오늘은 예시를 조금 자세하게 풀어드릴까 합니다.
자 이제
공매도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 공매도
- 공매도 정의
- 공매도 예시
▶ 공매도 (Short Stock Selling)
- 공매도 정의
네이버에 따르면, 주식이나 채권을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행사하는 매도 주문이라고 합니다.
'도대체 이게 무슨 말이야?, 주식 또는 채권을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어떻게 팔 수 있지?' 하실 수 있습니다!
저도 그랬거든요..

제가 차근차근 예시를 통해서 확실하게 이해하실 수 있게 도와드릴 테니까
걱정은 잠시 멀리하시고 저만 따라오세요ㅎㅎ
공매도는 '숏커버링(Short covering)'이라고도 합니다!
오늘은 예시를 들기 전에 이 단어를 뜯어서 간단하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공매도를 한자로 표기하면
空賣渡(공매도)
空 : 빌 공
賣 : 팔 매
渡 : 건널 도
' 빌려서 판다 '라는 의미입니다.
'뭐야 주식이나 채권을 빌릴 수가 있어?'라는 궁금증이 드실 텐데요~
정답은 '빌릴 수 있다' 입니다.
그럼 어디서 빌리냐?
바로 증권사에서 빌릴 수 있습니다!
이것을 '차입 공매도' 라고 하는데 이것은 그냥 흘려들으셔도 됩니다~
(내용이 조금 어려우니 심도 있는 설명은 추후에 따로 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냥 증권사에서 빌릴 수 있구나~
정도로만 아셔도 될 것 같습니다.
자, 그럼
'주식이나 채권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빌려와서 팔면 뭐가 이득인데?' 라는 궁금증이 들 수 있는데
지금부터는 그림을 통해 예시를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 공매도 예시
간략한 상황 설명과 함께 그림을 통해 알아봅시다!
상황 설명
A : S 전자 100주 보유
B : S 전자 0주 보유
상황 설명
A : S 전자 100주를 B에게 빌려줌
B : 빌린 주식을 5만 원에 매도하고 2.5만 원으로 떨어질 때까지 기다림
상황 설명
A : S 전자 0주 보유
B : S 전자 100주 보유
1년이 지난 후
주가가 2.5만 원이 되었을 때와
10만 원이 되었을 때
상황 설명
B : 예상대로 주가가 하락했군!
A : 난 손해 봤는데 B는 오히려 수익 봤네.. ㅜㅜ
손익 계산 시
B는 S 전자를 5만 원에 100주를 팔아서 기다렸다가 2.5만 원에 100주를 사서 A에게 줌.
50,000 x 100 = 5,000,000 매도
25,000 x 100 = 2,500,000 매수
(A에게 100주를 돌려줘야 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B는 250만 원 수익!
A는 S 전자를 5만 원에 100주를 샀다가 B에게 빌려줬고 현재 S전자는 2.5만 원.
50,000 x 100 = 5,000,000 매수
현재 주가 25,000원이기 때문에
25,000 x 100 = 2,500,000 보유
결과적으로 A는 250만 원 손해..
상황 설명
B : 주가 떨어질 줄 알고 팔았는데 큰일 났다..
A : 역시 믿고 가는 S 전자! 감사합니다ㅠㅠ
상황 설명
B는 S 전자를 5만 원에 100주를 매도했는데 S 전자 주가가 10만 원으로 떡상해 버림.
50,000 x 100 = 5,000,000 매도
100,000 x 100 = 10,000,000 매수
(A에게 100주를 돌려줘야 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B는 500만 원 손해..
A는 S 전자를 5만 원에 100주를 샀다가 B에게 빌려줬고 현재 S 전자는 10만 원.
50,000 x 100 = 5,000,000 매수
현재 주가 100,000원이기 때문에
100,000 x 100 = 10,000,000
결과적으로 A는 500만 원 수익!
조금 알쏭달쏭하실 수 있는데 몇 번 반복해서 보시면 이해되실 거라 믿습니다ㅎㅎ
마지막으로 공매도를 진행하거나 제한하는 이유는 종목의 고평가를 막거나 시장의 활성화를 돕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공매도에 대해서 공부해 봤습니다!
최대한 쉽게 설명해 드렸는데 오늘 내용이 조금 어려워서 걱정이긴 합니다만
우리 독자 여러분들은 똑똑하시니까 잘 이해하셨으리라 믿겠습니다ㅎㅎ
이해 안 되시면 반복해서 보시면 이해되실 겁니다~
오늘 하루도 너무 고생 많으셨습니다!
'경제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쉽고 재밌게 배우는 경제용어 국채편 (136) | 2023.12.05 |
---|---|
쉽고 재밌게 배우는 경제용어 국가신용등급편 (159) | 2023.12.04 |
쉽고 재밌게 배우는 경제용어 공급탄력성편 (180) | 2023.11.27 |
쉽고 재밌게 배우는 경제용어 공공재편 (177) | 2023.11.24 |
쉽고 재밌게 배우는 경제용어 골디락스 경제편 (166) | 2023.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