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용어

쉽고 재밌게 배우는 경제용어 공급탄력성편

머니포캣 2023. 11. 27. 21:15

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머니포캣입니다!

한주가 다시 시작되었습니다.

이번주 한주도 힘차게 시작해 봅시다!

 

 

 

오늘은 공급탄력성에 대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이름에서 벌써 힌트를 주고 있는데

정확하게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 공부해 봅시다.

 

목차
▶ 공급탄력성
  - 공급 탄력성 정의
  - 공급 탄력성의 분류
  - 공급 탄력성 예시
  - 공급 탄력성이 어떤 요인에 영향을 받나요?

 

 

 


 

 

▶ 공급탄력성 (Elasticity of Supply)

- 공급탄력성 정의

네이버 어학사전에 따르면, 금액이 몇% 변동할 때 그에 대한 공급량이 몇 % 변하느냐를 나타내는 비율이라고 합니다.

 

수식화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공급탄력성(Ep) = 공급량의 변화율 / 금액의 변화율

 

공급탄력성 값의 변화에 대한 공급의 민감도를 측정하는 척도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공급탄력성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 공급탄력성의 분류

공급탄력성탄력적 공급(Elastic Supply)비탄력적 공급(Inelastic Supply)으로 분류됩니다.

 

탄력적 공급(Elastic Supply)물건의 값에 대한 공급량 변화가 비례적으로 대폭으로 움직이는 것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공급탄력성이 1보다 크면 공급탄력성이 좋다, 탄력적이다' 라고 말합니다.

 

비탄력적 공급(Inelastic Supply)물건의 값에 대한 공급량 변화가 비례적으로 소폭으로 움직이는 것을 말합니다.

 

탄력적 공급과 반대로 '공급탄력성이 1보다 작으면 공급탄력성이 좋지 않다, 비탄력적이다' 라고 말합니다.

 

이렇게 설명해 드려도 잘 이해가 안 되시는 분들이 분명 있으실 겁니다.

예시를 통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 공급탄력성 예시

일단 현재 시점에서 놓고 봤을 때

공급탄력성이 탄력적인 상품으로 마스크를 예시로 들 수 있겠습니다.

 

3년 전만 해도 마스크를 구하기 정말 힘들었었는데 현재는 어떤가요?

현재는 코로나 대란 때만큼 마스크 구하기가 어렵지 않고 마스크 값도 한참 구하기 힘든 시기보다는 많이 안정화됐잖아요?!

이런 경우에는 공급탄력성이 좋다 말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공급탄력성이 비탄력적인 상품으로는 딸기를 예시로 들 수 있겠습니다.

사실 허니버터칩으로 예시를 들려고 했는데 여자친구가 딸기를 좋아해서

최근에 과일을 보러 갔는데 딸기 값을 보고 충격을 받아서 딸기로 예시를 들겠습니다ㅋㅋㅋㅋㅋㅋ

 

현재 딸기가 한팩에 2만 원 받고 있습니다..

딸기는 사실 지금 철이 아니라서 공급이 많이 안돼서 값이 엄청나게 폭등한 상태입니다.

수식에 대입해 보면 분자인 공급량의 변화율 작고 분모인 금액의 변화율이 큰 상태이므로

딸기는 현재 공급탄력성이 좋지 않다, 비탄력적이다 라고 볼 수 있습니다.

 

공급탄력성은 위에 예시들을 보셨듯이 시장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럼 공급탄력성은 어떤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까요?

 

- 공급탄력성은 어떤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나요?

공급탄력성 생산기술, 생산 비용, 대체품의 가용성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1. 생산 기술

생산기술이 좋아지면 생산량은 늘어나게 되어 공급 탄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2. 생산 비용

생산 비용이 절감되면 그만큼 공급 탄력성이 늘어나겠죠?

하지만 생산 비용은 원자재, 노동 비용 등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원자재값이 폭등하거나 하면 그만큼 생산 비용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3. 대체품의 가용성

대체품이 많을 경우에 금액 변동에 민감하기 때문에 공급 탄력성에 변화를 줄 수 있습니다.

 

 


 

 

오늘은 공급탄력성에 대해 공부해 봤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하는 바람으로 일주일 시작인 월요일 고생 많으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