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머니포캣이라고 합니다!

오늘은 어제 금리 편에 이어 금리의 종류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바로 가시죠!!
금리 종류가 생각보다 많지만 우리가 공부할 금리는
기준금리, 가산금리, 표면금리, 고정금리, 변동금리, 명목금리 6가지입니다.
일단 오늘은
기준금리, 가산금리, 표면금리 3가지에 대해서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기준 금리
- 기준 금리 정의
- 기준 금리가 미치는 영향
2. 가산 금리
- 가산 금리 정의
- 가산 금리와 신용도와의 관계
3. 표면 금리
- 표면 금리 정의
- 채권과 표면금리의 관계
1. 기준금리
- 기준금리의 정의
네이버 어학사전에 의하면 금리 체계의 기준이 되는 중심 금리 라고 합니다.
자금 조달 및 운용할 때 쓰이는데 기준이 되는 금리입니다.
일반적으로 경제의 안정과 통화량 조절을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죠!
- 기준금리가 미치는 영향
그럼 기준금리는 어디서 정하는 건가요?

바로 중앙은행입니다.
중앙은행은 국가 경제 안정과 화폐가치를 보호하는 역할 이외에도 통화 발행, 금융 안정화 등등 많은 역할을 하는 곳입니다.
고로 경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곳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그래서 기준금리는 중앙은행에서 결정되는데
기준금리는 경제 상황과 인플레이션 수준에 따라 변동할 수 있을뿐더러
경제 활동을 촉진하거나 억제하기 위해서 사용되기도 합니다.
쉬운 예로
기준금리가 낮아지면 대출 이자 또는 예금 상품들의 이자율이 낮아질 것이고
반대로 기준금리가 높아지면 대출 이자 또는 예금 상품들의 이자율이 높아질 것입니다.
2. 가산 금리
- 가산금리의 정의
네이버 어학사전에 의하면 기준금리에 신용도 등의 조건에 따라 덧붙이는 금리 라고 합니다.
가산금리는 스프레드(Spread)라고도 불리며 대출 상품에서 기본금리에 추가되는 이자율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신용 등급, 대출 상품의 특성, 대출 금액적인 부분에 따라 가산금리가 결정되고 있습니다.
- 가산금리와 신용도의 관계
이 관계에 대해서 보다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우리 일상에서 흔히 겪는 이야기를 한번 해보겠습니다.
내가 친구 2명 중 한 명한테 돈을 빌려줘야 되는 상황으로 가정해 보겠습니다!
A라는 친구는 돈을 빌려주면 항상 제대로 잘 갚는 친구고
B라는 친구는 돈을 빌려주면 항상 제대로 못 갚는 친구입니다.
그럼 누구한테 돈을 빌려주기 싫으신가요?
누가 봐도 B친구죠?
이유는 신용이 낮기 때문에 B에게 돈을 빌려주더라도 불이익을 줘야 제대로 갚을 것 같지 않나요?
이 상황에서
나를 채권자(돈을 빌려주는 쪽), 친구 A와 B를 채무자(돈을 빌리는 쪽), 불이익(이자율)라고 생각하고 대입한다면
가산금리와 신용도의 관계도 이해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가산 금리는 대출 상품에서 기본금리에 추가되는 이자율이라고 했죠?
극단적으로 얘기하면 불이익이 없는 A는 이자율이 낮을 것이고 B는 이자율이 높을 것입니다.
그래서 결론은 가산금리와 신용도는 반비례 관계가 성립되는 것이죠!
3. 표면 금리
- 표면 금리의 정의
네이버 어학사전에 의하면 채권에 대한 연간 이자율을 채권 표면에 표시한 것이라고 합니다.
이번 공부하는 표면 금리는 어려운 용어들이 많이 나오죠?
채권은 뭐야..
자! 채권은 정부나 공공기관에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서 발행하는 차용증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럼 채권은 정부나 공공기관 입장에서는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개인들에게 상품을 팔았죠?
그럼 개인은 그 대가를 이자 형태로 받습니다.
내용이 좀 어렵죠,,
아래로 내려가서 예시와 함께 공부해 보시죠!
- 채권과 표면금리의 관계
쉽게 예금과 채권을 반대로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예금은 현재의 금리로 미래에 원금과 현재 금리 이자를 같이 받는 것이고
채권은 미래의 고정 값(Fixed Income)을 지금 금리로 할인받은 금액으로 사는 것입니다.
수식으로 보면
예금 = 원금 + 원금에 대한 이자율 [미래]
채권 = 미래의 값(Fixed Income)/ 현재 금리
예금을 미래의 수익률로 본다면 채권은 할인률이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지금도 이해가 잘 안 되시죠?
예시를 통해 알려드리겠습니다.
현재 금리가 10%라고 가정했을 때
예금은 1억 + 원금 이자 10% = 1.1억
채권은 1억(Fixed Income)을 현재 금리인 10% 적용했을 때 현재 약 9090만 원에 살 수 있다는 소리입니다.
그랴서 표면금리가 상승할 경우 이자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채권의 가치가 하락할 수 있다는 소리입니다.
결국 채권 가격과 이자율은 반비례 관계가 성립되는 것이죠!
오늘은 가산금리, 고정금리, 표면금리에 대해서 공부해 봤는데요?!
표면 금리에서 멘붕 오신 분들이 계실 겁니다.
성장하려면 고통을 이겨내셔야 합니다!
이해되실 때까지 공부해 보세요ㅎㅎ
그럼 오늘 하루도 공부하시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경제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쉽고 재밌게 배우는 경제용어 고용률편 (204) | 2023.11.20 |
---|---|
쉽고 재밌게 배우는 경제용어 경상수지편 (188) | 2023.11.16 |
쉽고 재밌게 배우는 경제 용어 경기동향지수편 (191) | 2023.11.14 |
쉽고 재밌게 배우는 경제 용어 금리(3)편 (133) | 2023.11.13 |
쉽고 재밌게 배우는 경제 용어 금리편 (96) | 2023.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