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머니포캣이라고 합니다!

저는 김승호 회장님의 돈의 속성에 나오는 경제 용어를 시작으로 전반적인 경제 흐름 및 부동산에 관련한 내용을 다룰 예정입니다.
많은 분들이 경제 하면 ' 어려워, 굳이 알아야 돼? ' 등 관심을 갖기 어려워하는데요?!
저 또한 그랬는데 관심을 갖고 하다 보면 경제만큼 재밌는 게 없습니다ㅎㅎ
저 머니포캣이 쉽고 재미있게 풀어서 설명할 테니까 저희 함께 경제적 자유에 가까워지는 그날까지 함께해요!
첫 번째로 공부할 용어는 가산금리였는데
'난 금리도 뭔지 잘 모르겠는데' 하시는 분들 분명 있으실 겁니다!
그래서,
오늘은 금리에 대해 먼저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금리
- 금리의 정의
- 이자란?
- 금리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2. 코로나가 유행할 때 주식 시장과 부동산 시장이 활성화된 이유
- 금리 인하
1. 금리
- 금리의 정의
금리란,
네이버 어학사전에 의하면 빌려준 돈이나 예금에 붙는 이자, 또는 그 비율이라고 하는데요.
쉽게 말해 '돈에 붙는 이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여기서 잠깐!
이자는 뭘까요?

- 이자란?
이자는 돈을 빌릴 때 원금과 빌린 기간 동안의 일정 부분에 대한 사용료 라고 할 수 있습니다.
- 금리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금리는 경제에 아주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유는 금리가 금융상품의 값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쉽게 예를 들어볼까요?
우리가 코로나가 막 터졌을 때 주식 시장과 부동산 시장의 흐름이 어땠나요?
주식 같은 경우는 어떤 종목에 투자하든 간에 다 수익을 볼 수 있을 정도로
주식 시장이 활성화가 되었고 신규 투자자가 급격하게 늘어났던 시기였습니다.
또 부동산 시장은 어땠나요?
부동산은 2015년 기점으로 꾸준히 조금씩 상승은 했지만
급격하게 상승한 시기는 코로나가 터지고 나서였습니다.
그럼 왜 코로나라는 무서운 질병이 터졌음에도 불구하고 주식 시장과 부동산 시장이 활성화된 것일까요?

2. 코로나가 유행할 때 주식 시장과 부동산 시장이 활성화된 이유
- 금리 인하
이유는 바로 금리 인하였는데요!
금리를 인하하게 되면 기업에서는 고용률이 늘어나게 됩니다.
그러면 기업은 고용한 사람들로 인해 매출이 늘어나게 될 것이고
그로 인해 사람들의 소득도 늘어나게 되겠죠?
그럼 소득이 늘어난 사람들은 그 돈을 그대로 묶어둘까요?

아니죠!
소득이 늘어나면 소비도 늘어나게 되어있습니다.
소비에는 여가 생활뿐만 아니라 투자도 해당이 되는데요!
이로 인해서 주식 시장에 많은 신규 투자자들이 투입이 되었고
투입된 사람들로 인해 매도자에 비해 매수자가 우위에 있기 때문에 주식 시장이 활성화된 것입니다.
부동산도 마찬가지로 금리 인하로 인해 대출 금리도 낮아서 대출해서 매도자에 비해 매수자가 많아서
매도자가 비싼 값에 매물을 내놓아도 매수가 되었기 때문에 부동산 값이 상승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그래서 금리가 인하되면 시중에 돈이 많이 풀려 경제의 선순환 구조로 봅니다.
물론!
뭐든지 과하면 안 좋은 것처럼 과하게 금리를 인하시키면 인플레이션 위험성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리고 코로나가 딱 터졌을 때 전세계적으로 돈이 많이 풀림으로써 물가 상승률이 치솟았습니다.
매년 적정 물가 상승률을 2%대로 잡는데 이를 웃도는 수치를 보였기 때문에
미국의 파월 의장은 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를 인상했습니다.
그래서 지금 현재 기준(23.11.09)으로 미국의 기준금리는 5.5%, 한국의 기준금리는 3.5%를 유지하고 있죠
오늘은 간단하게 금리에 대해 공부해 봤는데요!
앞으로도 이해하기 쉽고 좋은 내용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경제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쉽고 재밌게 배우는 경제용어 고용률편 (204) | 2023.11.20 |
---|---|
쉽고 재밌게 배우는 경제용어 경상수지편 (188) | 2023.11.16 |
쉽고 재밌게 배우는 경제 용어 경기동향지수편 (191) | 2023.11.14 |
쉽고 재밌게 배우는 경제 용어 금리(3)편 (133) | 2023.11.13 |
쉽고 재밌게 배우는 경제 용어 금리(2)편 (50) | 2023.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