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머니포캣이라고 합니다!

오늘은 단기금융시장에 대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목차
▶ 단기금융시장
- 단기금융시장 정의
- 단기금융시장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 단기금융시장(Short-term money market)
- 단기금융시장 정의
네이버 어학사전에 따르면, 만기가 1년 이내인 금융상품이 거래되는 시장 이라고 합니다.
단기금융시장을 자금시장이라고 하며
단기금융시장과 반대되는 용어는 장기금융시장(Long-term money market)이라고 합니다.
장기금융시장은 만기가 1년 이내인 금융상품이 거래되는 시장을 뜻하며
자본시장이라고도 말합니다.
그럼 현재 한국에서 단기금융시장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단기금융시장에 어떤것들이 있나요?
현재 한국에는 콜시장, 기업어음(CP) 시장, 양도성예금증서(CD) 시장, 환매조건부채권매매(RP) 시장 등이 있습니다.
용어가 익숙하지 않고 굉장히 어려워 보이시죠?
저도 마찬가지인데 차근차근 같이 공부해 봅시다!
1. 콜(call) 시장
금융시장 간에 초단기로 자금을 거래하는 시장을 말합니다.
이때 콜거래 만기는 최대 90일도 있지만 보통 1일 이내로 거래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콜금리는 기준금리뿐만 아니라 대출금리 등등 실물경제 금리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단기금융시장을 알아야 합니다.
2. 기업어음(CP, Commercial Paper)
신용상태가 좋은 기업이 단기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기업신용을 토대로 발행하는 일종의 보증서입니다.
보통 1년 이내로 규정되어 있으며 만기가 3일짜리 CP도 있습니다.
CP는 만기일 이전에 돈이 필요할 경우, 만기일에 받은 금액에서 이자율만큼 차감해서 돈을 찾을 수 있습니다.
3. 양도성예금증서(CD, Certificate of DePosit)
CD는 은행의 정기예금증서를 양도할 수 있게 양도성을 부여한 것입니다.
CD는 만기가 30일 이상이며 주로 91일(3개월) 또는 181일(6개월) 짜리가 주를 이루며 중도해지는 안되지만 양도가 가능하기 때문에 CD를 매각하여 현금화를 이룰 수 있습니다.
4. 환매조건부채권매매(RP, RePo repurchase agreement)
RP는 미래 특정 시점에 특정 금액으로 본래 RP 매도자가 RP 매수자에게 이자를 주며 되사는 매매를 뜻합니다.
쉽게 말해 A라는 친구가 급하게 돈이 필요해서 B라는 친구에게 A가 가진 물건을 사게끔 하고 약속된 시점에 B가 산 금액에 이자를 쳐서 A가 다시 매수하는것을 말합니다.
이때 매매는 무조건 A와 B만 거래를 하는 것을 약속으로 합니다.
이 내용을 알아야 하는 이유는
콜시장에서도 잠깐 언급했듯이
단기금융시장이 중앙은행에서 통화정책을 펼칠 때 영향을 끼치며
이로 인해 실물경제 금리까지 영향이 발생될 수밖에 없습니다.
오늘은 단기금융시장에 대해서 공부해 봤습니다.
제가 생각했을 땐 오늘 내용이 지금까지 공부했던 내용 중에 가장 어렵다고 생각하는데
어렵다고 포기하지 마시고 꾸준히 열심히 공부해서 우리 독자 여러분 모두 경제적 자유를 이룹시다!
'경제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쉽고 재밌게 배우는 경제용어 대체제편 (36) | 2024.01.08 |
---|---|
쉽고 재밌게 배우는 경제용어 대외의존도편 (30) | 2024.01.03 |
쉽고 재밌게 배우는 경제용어 낙수효과편 (31) | 2023.12.26 |
쉽고 재밌게 배우는 경제용어 기회비용편 (37) | 2023.12.19 |
쉽고 재밌게 배우는 경제용어 기축통화편 (32) | 2023.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