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머니포캣이라고 합니다!

오늘은 대외의존도에 대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목차
▶ 대외의존도
- 대외의존도 정의
- 대외의존도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 대외의존도(Foreign Dependent)
- 대외의존도 정의
네이버 어학사전에 따르면, 총공급이나 총수요 중에서 수출과 수입 등 대외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이며 무역액(수출액과 수입액의 합)이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율 이라고 합니다.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대외의존도=(수출액+수입액)/국내총생산(GDP)
위에 내용이 조금 어렵게 느껴지지만 용어만 두고 봤을 때는 어느 정도 감이 오지 않으세요?
쉽게 말해
대외의존도는 특정 국가나 지역이 다른 국가나 지역에 의존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그럼 대외의존도가 높고 낮을 때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대외의존도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대외의존도가 높고 낮을때 미치는 영향은 사실 조금만 생각하면 알 수 있는 내용이지만 그래도 공부 차원에서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대외의존도가 높은 경우에는 실물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대외의존도가 높다는 말은 자국에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서 타국에 의존하게 되는 건데
그렇게 되면 그 국가의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커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대한민국은 주로 제조업 중심으로 제품을 만들어 수출하는 국가입니다.
그래서 제품 수출이 GDP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대한민국은 원자재와 에너지 수입 비중이 높습니다.
대표적으로 지하자원인 석유가 될 수 있겠습니다.
우리나라는 지하자원이 풍부한 나라가 아닙니다.
그래서 지하자원(석유)도 해외에서 수입해 와서 쓰는데
이 경우가 해외에 의존하게 되는 경우입니다.
그럼 지하자원(석유)이 안 나오는 우리나라는 대외의존도가 높은 편입니다.
따라서 대한민국은 글로벌 경제 상황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항상 글로벌 경제를 주시해야 하며 대외 경제 정책을 잘 만들어나가야 합니다.
어쩌다 보니 2023년이 마무리가 되었고 2024년이 되었습니다.
다사다난했던 2023년 잘 마무리하셨나요?
저는 2023년 시작할 때 목표가 있었는데
되돌아보니까 제가 연초에 세웠던 목표 달성률이 50% 정도밖에 안 되더라고요
그래서 반성을 많이 하게 되는 한 해였습니다.
올해도 제가 생각한 목표가 있는데 올해는 작년처럼 절반만 성공하는 일이 없도록 더욱 노력하며 살 것입니다.
모두 올해 목표 세우셨나요?
아직 목표를 세우지 못하신 분들은 달성가능한 목표설정부터 하시고
저와 함께 목표를 이룰 수 있게 올 한 해도 열심히 성장해 나아가봅시다!!
2023년 수고 많으셨고 2024년은 우리 독자 여러분들 다들 파이팅입니다!!
'경제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쉽고 재밌게 배우는 경제용어 더블딥편 (43) | 2024.01.09 |
---|---|
쉽고 재밌게 배우는 경제용어 대체제편 (36) | 2024.01.08 |
쉽고 재밌게 배우는 경제용어 단기금융시장편 (41) | 2023.12.27 |
쉽고 재밌게 배우는 경제용어 낙수효과편 (31) | 2023.12.26 |
쉽고 재밌게 배우는 경제용어 기회비용편 (37) | 2023.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