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용어

쉽고 재밌게 배우는 경제용어 기회비용편

머니포캣 2023. 12. 19. 20:57

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머니포캣이라고 합니다!

 

 

오늘은 많이들 들어보셨을 기회비용에 대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목차
▶ 기회비용
  - 기회비용 정의
  - 기회비용의 예시
  - 기회비용 계산

 

 


 

 

▶ 기회비용 (Opportunity Cost)

- 기회비용 정의

네이버 어학사전에 따르면 어떤 재화의 용도 중 한 가지 만을 선택한 경우,

포기한 용도에서 얻을 수 있는 이익의 평가액 라고 합니다.

 

쉽게 말해,

기회비용선택한 것에 대한 이익과 어떤 것을 선택했을 때 포기한 가치의 비용을 의미합니다.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기회비용(Opportunity Cost) = 선택함으로써의 이익 + 선택에 의해 버려진 가치의 비용

 

 

그럼 기회비용을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예시를 들어 설명해 보겠습니다.

 

- 기회비용의 예시

A라는 사람이 4년제 대학을 가지 않고 직장에 취업했을 때를 가정해 보겠습니다.

그럼 A라는 사람은 4년이라는 기간 동안 대학교에서 배우는 학문적인 지식과 경험 등을 하지 못하겠지만

사회생활을 하면서 얻은 경험은 대학을 나온 사람들보다 많을 수 있겠죠.

이런 것들이 기회비용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다른 예시로는 투자를 들 수 있습니다.

A라는 사람이 대형주와 소형주를 고민할 때, 대형주를 샀다고 가정해 봅시다.

보통 대형주는 소형주에 비해 안정성은 높지만 수익률이 낮은데

반대로 소형주는 대형주에 비해 안정성은 낮지만 수익률이 높은데

이러한 장단점들을 기회비용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럼 이제 기회비용을 계산은 어떻게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기회비용 계산

계산하기 전에 하나만 알고 갑시다.

위에서 기회비용을 수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기회비용 = 선택한 것으로의 이익 + 선택에 의해 버려진 가치의 비용

 

 

이때

선택한 것으로의 이익명시적 비용이라고 하고

선택에 의해 버려진 가치의 비용암묵적 비용이라고 합니다.

 

그럼 아까 대학 진학에 대한 예시를 갖고 기회비용을 계산해 보겠습니다.

 

 

A가 만약 대학 진학을 안 하고 바로 취직을 한다는 가정을 해보겠습니다.

그럼 연봉을 2,400만 원으로 잡고 4년을 일을 하면서 급여의 50%를 저축했다고 가정하면

4년 동안 모은 돈은 4,800만 원입니다.

이 4,800만 원이 곧 명시적 비용이 되는 것이죠!

그리고 또 뭐가 있다고 했죠?

명시적 비용 말고 암묵적 비용이 있다고 했죠?!

대학에 진학했을 때 얻을 수 있는 학문적인 지식과 경험 등이 암묵적 비용에 해당합니다.

 

이 명시적 비용과 암묵적 비용을 더하게 된다면 기회비용의 가치를 알 수 있게 됩니다.

 

 

 

가치를 어디에 치중하느냐에 따라 선택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인생은 결정의 연속입니다.

우리는 경제적 자유를 이루기 위한 사람들이기 때문에 

어떤 일을 결정할 때 더더욱 신중하게 결정해야 되는 것을 명심하셔야 합니다ㅎㅎ

 

요즘 날씨가 많이 추워졌는데 다들 감기 조심하시고 오늘 하루도 고생 많으셨습니다~